수경재배 2

마무리 & 인사이트: 소규모 농업 자동화 3개월 실험 종합 보고

소규모 농업 자동화 실험을 약 3개월 동안 진행하면서 가장 먼저 체감된 변화는 ‘노동 시간의 획기적 단축’이었다. 초기에는 토양 수분 센서, 온도·습도 센서, 조도 센서, 자동 펌프, 환기팬, LED 보조조명, 태양광 발전 시스템 등을 각각 설치하고 연동하는 과정에서 예상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하지만 시스템이 안정화된 이후부터는 하루에 최소 2~3시간 이상 반복되던 관수, 환기, 조명 관리가 자동화로 대체되었다. 예를 들어 토양 수분 센서는 뿌리 근처의 수분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해 일정 기준 이하로 떨어지면 펌프가 자동으로 가동되도록 설정되었는데, 덕분에 사람이 직접 토양을 만져가며 물을 줄 필요가 사라졌다. 또한 여름철 온실 내부가 과열될 때 환기팬이 자동으로 작동해 내부 온도를 안정적으로 유..

확장 & 응용 : 자동화 농업과 수경재배 결합 실험기

소규모 농업은 대규모 농업과 달리 한정된 면적과 자본 속에서 어떻게 효율성을 극대화하느냐가 핵심 과제가 된다. 특히 기후 변화와 노동력 부족은 소규모 농가에 큰 압박으로 다가오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농업인들이 스마트팜과 자동화 농업을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토양 기반 농업만으로는 기상 조건이나 토양 상태에 따라 생산량과 품질이 크게 변동되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그래서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바로 수경재배와 자동화 시스템의 결합이다. 수경재배는 토양 대신 양액을 사용해 작물을 키우기 때문에 환경 제어가 훨씬 용이하며, 자동화 제어 장치와 결합했을 때 데이터 기반 농업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번 실험에서는 소규모 온실에 토양 베드와 수경 라인을 동시에 배치하고, 온도·습도·광량·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