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농업 자동화 3

운영 & 기록 - 햇빛·온도 데이터 자동 수집 시스템 구축기

1. 햇빛·온도 데이터 자동 수집의 필요성과 목표소규모 농업 환경에서 안정적인 수확을 위해서는 작물 생육에 영향을 주는 환경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특히 햇빛(조도)과 온도는 광합성과 대사 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하루 동안의 변화뿐만 아니라 계절별, 날씨별 패턴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하지만 많은 소규모 농가에서는 여전히 수동 측정 방식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작업자가 하루 몇 차례 온도계를 확인하고 기록하는 방식은 편차가 크고, 관측 시점이 제한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연속성이 떨어집니다. 이런 방식으로는 예기치 않은 환경 변화에 즉각 대응하기 어렵습니다.이번 실험의 목표는 실시간으로 연속적인 데이터를 자동 수집하여, 작물 재배에 최적화된 환경 관리 의..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 중 어떤 걸 선택했는가?

1. 소규모 농업 자동화와 제어 장치 선택의 중요성소규모 농업 자동화의 핵심 목표는 작물의 생육 환경을 최적화하면서도 인건비와 관리 시간을 줄이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온도, 습도, 조도, 토양 수분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 공급, 환기, 조명, 난방 등 다양한 환경 요소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 자동화 시스템의 ‘두뇌’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마이크로컨트롤러(아두이노)와 마이크로컴퓨터(라즈베리파이)입니다. 아두이노는 단순하고 안정적인 제어에 강점을 가지며, 라즈베리파이는 복잡한 연산과 네트워크 기능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하지만 장치를 선택할 때는 단순히 성능이 좋은 장비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실험 환경, 전력 공급 상황, 유지보..

소규모 농업 자동화 실험 시작 & 준비

1. 실험 설계와 환경 구축 과정이번 글은 “소규모 농업 자동화 실험 기록 시리즈” 중 첫 번째 기록으로, 주제는 토양 수분 센서의 정확도 측정입니다. 이 실험의 목적은 자동화 기술을 소규모 농업에 적용할 때, 센서가 얼마나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지 검증하는 데 있습니다.우선 실험 대상지는 20평형 비닐하우스 내 2개 구획으로 선정했습니다. 각 구획에는 서로 다른 제조사의 토양 수분 센서, 즉 A 브랜드 센서와 B 브랜드 센서를 각각 설치했습니다.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는 토양 상태 균일화 작업이 필수였습니다. 두 구획 모두 동일한 배합비의 상토를 사용하고, 초기 수분 함량을 약 25%로 맞춘 뒤 균일 관수를 실시했습니다. 표층과 심층 수분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포크형 토양 혼합 도구를 사용해 세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