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13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 중 어떤 걸 선택했는가?

1. 소규모 농업 자동화와 제어 장치 선택의 중요성소규모 농업 자동화의 핵심 목표는 작물의 생육 환경을 최적화하면서도 인건비와 관리 시간을 줄이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온도, 습도, 조도, 토양 수분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 공급, 환기, 조명, 난방 등 다양한 환경 요소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 자동화 시스템의 ‘두뇌’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마이크로컨트롤러(아두이노)와 마이크로컴퓨터(라즈베리파이)입니다. 아두이노는 단순하고 안정적인 제어에 강점을 가지며, 라즈베리파이는 복잡한 연산과 네트워크 기능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하지만 장치를 선택할 때는 단순히 성능이 좋은 장비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실험 환경, 전력 공급 상황, 유지보..

소규모 농업 자동화 실험 시작 & 준비

1. 실험 설계와 환경 구축 과정이번 글은 “소규모 농업 자동화 실험 기록 시리즈” 중 첫 번째 기록으로, 주제는 토양 수분 센서의 정확도 측정입니다. 이 실험의 목적은 자동화 기술을 소규모 농업에 적용할 때, 센서가 얼마나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지 검증하는 데 있습니다.우선 실험 대상지는 20평형 비닐하우스 내 2개 구획으로 선정했습니다. 각 구획에는 서로 다른 제조사의 토양 수분 센서, 즉 A 브랜드 센서와 B 브랜드 센서를 각각 설치했습니다.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는 토양 상태 균일화 작업이 필수였습니다. 두 구획 모두 동일한 배합비의 상토를 사용하고, 초기 수분 함량을 약 25%로 맞춘 뒤 균일 관수를 실시했습니다. 표층과 심층 수분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포크형 토양 혼합 도구를 사용해 세 차..

소규모 농업 자동화 프로젝트 개요와 목표 설정

1. 소규모 농업 자동화의 필요성과 배경농업은 인류 생존의 근간이지만, 농촌 사회는 현재 심각한 인력난과 구조적 변화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고령화, 청년층의 이탈, 농촌 인구 감소로 인해 노동력 부족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특히 소규모 농가는 대규모 농기계나 첨단 스마트팜 설비를 도입하기 어려워 노동 강도와 인건비 부담이 높고 생산성이 낮아지는 악순환에 빠져 있습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소규모 농업 자동화 프로젝트는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농업 경영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전략입니다. 과거에는 고가의 대형 장비 중심의 자동화가 주류였으나, 최근에는 IoT 센서, 소형 로봇, 저전력 제어 장치, 클라우드 기반 모니터링 등 저비용·고효율 솔루션이 발전하며 중소 농가도 충분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