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 19

운영 & 기록 - 스마트폰 앱과 연동한 원격 농업 제어하기

1. 원격 제어의 필요성과 시장 변화농업은 더 이상 전통적인 방식에만 의존하지 않습니다. IoT(사물인터넷)와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이제 농장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스마트폰 앱으로 작물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소규모 농업 종사자에게 원격 제어 기술은 시간 절약, 인건비 절감, 작물 피해 최소화라는 세 가지 장점을 제공합니다.예를 들어, 한여름에 갑작스러운 폭염이 발생했을 때, 비닐하우스의 내부 온도는 순식간에 40℃를 넘어갑니다. 이때 현장에 없더라도 앱에서 환기팬을 켜거나 스프링클러를 작동시켜 온도를 낮출 수 있다면,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반대로 겨울철 한파 때는 원격으로 히터를 켜 작물이 냉해를 입지 않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원격 제어 ..

운영&기록 - 소규모 비닐하우스 자동 환기 시스템 설치기

1. 설치를 결심하게 된 이유와 필요성소규모 비닐하우스를 운영하는 농부라면 한 번쯤 경험했을 문제 중 하나가 바로 환기 부족입니다. 특히 여름철에는 하우스 내부 온도가 40도 이상 치솟아 작물 생육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고, 겨울철에도 습기와 결로로 인한 곰팡이 피해가 빈번히 발생합니다.저 역시 몇 해 전부터 토마토, 오이, 파프리카를 재배하면서 생육 부진과 병충해로 인해 생산량이 줄어드는 경험을 여러 차례 했습니다. 수동으로 환기창을 열고 닫는 방식은 날씨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어려웠고, 특히 장마철에는 습기가 차올라 곰팡이가 발생하는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졌습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떠오른 해법이 자동 환기 시스템입니다. 센서가 실시간으로 온도·습도를 측정하고, 기준값을 초과하면 모터가 창문..

운영 & 기록 - 비 오는 날 자동 급수 장치가 작동한 놀라운 결과

1. 실험 배경과 자동 급수 장치 도입의 필요성소규모 농업 현장에서 안정적인 작물 생육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물 관리’입니다. 물은 작물이 생존하고 성장하는 데 필수적인 자원이며, 공급 시기와 양을 잘못 맞추면 치명적인 생육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여름철이나 건조한 계절에는 수분 부족으로 인한 생육 저하, 반대로 장마철이나 집중호우 시에는 과습으로 인한 뿌리 부패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번 실험에서는 토양 수분 센서와 자동 제어 모듈을 결합한 자동 급수 장치를 설치했습니다.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토양 수분 센서: 토양 속 수분 함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해 데이터를 전송제어 모듈(마이크로컨트롤러): 센서 데이터를 분석해 급수 여부를 자동 판단전동..

운영 & 기록 - 햇빛·온도 데이터 자동 수집 시스템 구축기

1. 햇빛·온도 데이터 자동 수집의 필요성과 목표소규모 농업 환경에서 안정적인 수확을 위해서는 작물 생육에 영향을 주는 환경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수입니다. 특히 햇빛(조도)과 온도는 광합성과 대사 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하루 동안의 변화뿐만 아니라 계절별, 날씨별 패턴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하지만 많은 소규모 농가에서는 여전히 수동 측정 방식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작업자가 하루 몇 차례 온도계를 확인하고 기록하는 방식은 편차가 크고, 관측 시점이 제한되기 때문에 데이터의 연속성이 떨어집니다. 이런 방식으로는 예기치 않은 환경 변화에 즉각 대응하기 어렵습니다.이번 실험의 목표는 실시간으로 연속적인 데이터를 자동 수집하여, 작물 재배에 최적화된 환경 관리 의..

아두이노와 라즈베리파이 중 어떤 걸 선택했는가?

1. 소규모 농업 자동화와 제어 장치 선택의 중요성소규모 농업 자동화의 핵심 목표는 작물의 생육 환경을 최적화하면서도 인건비와 관리 시간을 줄이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온도, 습도, 조도, 토양 수분 등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해당 데이터를 기반으로 물 공급, 환기, 조명, 난방 등 다양한 환경 요소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이 자동화 시스템의 ‘두뇌’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마이크로컨트롤러(아두이노)와 마이크로컴퓨터(라즈베리파이)입니다. 아두이노는 단순하고 안정적인 제어에 강점을 가지며, 라즈베리파이는 복잡한 연산과 네트워크 기능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합니다. 하지만 장치를 선택할 때는 단순히 성능이 좋은 장비를 고르는 것이 아니라, 실험 환경, 전력 공급 상황, 유지보..

소규모 농업 자동화 실험 시작 & 준비

1. 실험 설계와 환경 구축 과정이번 글은 “소규모 농업 자동화 실험 기록 시리즈” 중 첫 번째 기록으로, 주제는 토양 수분 센서의 정확도 측정입니다. 이 실험의 목적은 자동화 기술을 소규모 농업에 적용할 때, 센서가 얼마나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제공하는지 검증하는 데 있습니다.우선 실험 대상지는 20평형 비닐하우스 내 2개 구획으로 선정했습니다. 각 구획에는 서로 다른 제조사의 토양 수분 센서, 즉 A 브랜드 센서와 B 브랜드 센서를 각각 설치했습니다. 실험을 시작하기 전에는 토양 상태 균일화 작업이 필수였습니다. 두 구획 모두 동일한 배합비의 상토를 사용하고, 초기 수분 함량을 약 25%로 맞춘 뒤 균일 관수를 실시했습니다. 표층과 심층 수분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포크형 토양 혼합 도구를 사용해 세 차..

첫 설계도 그리기, 필요한 장비와 부품 리스트

1. 소규모 농업 자동화의 필요성과 첫 설계의 중요성소규모 농업 자동화는 한정된 인력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입니다. 특히 농업 인구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면서, 자동화 설비 도입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습니다. 소규모 농가에서 자동화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려면 가장 먼저 명확한 목표 설정과 설계도 작성이 필요합니다.설계도는 단순한 그림이 아니라, 전체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할지 보여주는 청사진입니다. 관수, 온습도 조절, 조명, 데이터 수집 등 필수 요소가 어디에 위치하고 어떻게 연결될지를 구체적으로 표시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설계 전 단계에서 토양 특성, 재배 작물, 기후 조건, 부지 크기를 철저히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온실에서 토마토를 ..

3평 텃밭에 자동화 시스템 도입을 결심한 이유

1. 작은 3평 텃밭이 가진 가능성과 한계도심 속 주택이나 전원주택의 마당 한편에 자리한 3평 남짓한 텃밭은, 숫자만 보면 작아 보이지만 그 안에는 의외로 많은 가능성이 숨어 있다. 봄에는 상추, 시금치, 청경채 같은 잎채소를 골고루 심어 매일 아침 갓 딴 채소를 식탁에 올릴 수 있고, 여름에는 토마토·방울토마토, 오이, 가지처럼 햇볕을 좋아하는 열매채소를 수확할 수 있다. 가을이 되면 배추·무·갓을 심어 김장 준비를 할 수 있으며, 겨울철에는 추위에 강한 부추나 대파를 키우면 한겨울에도 싱싱한 향을 즐길 수 있다. 작지만 제철 작물로 계절의 변화를 느끼고, 수확의기쁨을 가족과 나눌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는 크다.3평 텃밭의 장점은 단순한 먹거리 자급을 넘어선다. 농약을 최소화하거나 아예 사용하지 않..

소규모 농업 자동화 프로젝트 개요와 목표 설정

1. 소규모 농업 자동화의 필요성과 배경농업은 인류 생존의 근간이지만, 농촌 사회는 현재 심각한 인력난과 구조적 변화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고령화, 청년층의 이탈, 농촌 인구 감소로 인해 노동력 부족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특히 소규모 농가는 대규모 농기계나 첨단 스마트팜 설비를 도입하기 어려워 노동 강도와 인건비 부담이 높고 생산성이 낮아지는 악순환에 빠져 있습니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소규모 농업 자동화 프로젝트는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닌, 농업 경영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전략입니다. 과거에는 고가의 대형 장비 중심의 자동화가 주류였으나, 최근에는 IoT 센서, 소형 로봇, 저전력 제어 장치, 클라우드 기반 모니터링 등 저비용·고효율 솔루션이 발전하며 중소 농가도 충분히..